• 최종편집 2025-06-12(목)
  • 전체메뉴보기

뉴스
Home >  뉴스  >  정치

실시간뉴스
  • [대한기자신문=단독] 아시아태평양세계무역센터연맹 회장 리명성,'한중수교 33주년 기념포럼' 축사(영상)
    大家好!我是亚太世界贸易商务联盟会长李明星。 首先热烈祝贺举办“中韩建交33周年纪念论坛”。 中韩建交33年来,在两国人民的共同努力下,双边政治、经济、文化、社会各领域取得了举世瞩目的成就,如今形成全面战略合作伙伴关系,不仅给两国关系健康发展奠定了良好基础,也为全球合作增添了积极的正能量。 期待此次论坛,通过大家的深度讨论,客观总结建交33年来的宝贵经验,正面提出开创美好未来的建设性建议,为中韩两国关系的更加健 康稳定可持续发展做出积极贡献。 预祝论坛圆满成功。谢谢! 안녕하십니까. 아시아태평양세계무역센터 회장 이명성입니다. 먼저, 『한·중 수교 33주년 기념 포럼』의 뜻깊은 개최를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한국과 중국은 수교 이래 지난 33년 동안 양국 국민의 헌신과 노력 속에 정치, 경제, 문화, 사회 등 다양한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이뤄냈습니다. 이러한 성취는 단순한 양자 관계를 넘어, 전면적인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의 토대를 공고히 하는 데 크게 기여했으며, 동시에 세계 무대에서도 긍정적인 에너지를 확산시키는 원동력이 되었습니다. 이번 포럼이 그간의 귀중한 협력의 여정을 객관적으로 성찰하고, 앞으로의 10년, 30년을 향한 건설적인 방향과 비전을 제시하는 자리로 거듭나기를 기대합니다. 아울러 여러분의 심도 있는 논의가 양국 관계의 건강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실질적인 기여로 이어지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한·중 수교 33주년 기념 포럼』의 성공적인 개최를 다시 한 번 기원드리며, 함께하신 모든 분들의 건승과 평안을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 뉴스
    • 정치
    2025-06-12
  • [대한기자신문] 이재명 대통령,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첫 정상 통화…APEC 정상회의 초청
    사진: 한국 이재명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 2025.6.10 [사진=대한기자신문DB] [대한기사신문 이준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6월 10일 오전 11시 30분부터 약 30분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취임 후 첫 전화 통화를 가졌다. 이번 통화는 지난 6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9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의 통화에 이어 세 번째 해외 정상과의 통화다. 이 대통령은 통화에서 오는 11월 경북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시진핑 주석을 공식 초청했다. 양 정상은 한중 양국이 경제, 문화, 인적 교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 성과를 만들어내기 위해 공동 노력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시진핑 주석은 이 대통령의 당선을 축하하며 “한중은 옮겨갈 수 없는 가까운 이웃”이라고 강조했고, 양국이 서로의 핵심 이익과 중대 관심사를 존중하며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더 높은 수준으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한중 관계를 매우 중시하며, 양국 국민 간 감정 개선과 협력 증진에 힘쓰겠다”고 화답했다. 이 대통령은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안정을 위한 중국의 건설적 역할도 당부했다. 시진핑 주석은 “한반도 평화와 안정은 양국의 공동 이익”이라며 문제 해결을 위한 적극적 역할을 약속했다. ▼자발적, 원고료로 응원해 주세요! ▪︎예금주: 대한기자신문 ▪︎계좌: 우체국 110-0053-16317
    • 뉴스
    • 정치
    2025-06-10
  • [대한기자신문]“국민이 직접 이끄는 정부” 국민주권시대 선언… 국민추천제 본격 시행
    국민추천제 포스터/이재명대통령FB [서울=대한기자신문 이강문 기자] “국민과 함께, ‘국민주권정부’의 문을 엽니다.” 정부는 진정한 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새로운 인사 제도로 ‘국민추천제’를 본격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제도는 국민이 직접 유능한 인재를 발굴하고 국가 운영에 참여하는 참여형 민주주의 모델로 평가받는다. 이재명 정부 관계자는 “이제는 국민이 주인이 되어 직접 변화를 이끄는 시대”라며, “묵묵히 헌신해온 숨은 인재, 국민을 위해 일할 준비가 된 유능한 인물들에게 새로운 기회의 문이 열릴 것”이라고 전했다. 이번 추천제는 단순한 인사 방식의 전환을 넘어, 국민이 국가 운영의 주체로서 주도권을 행사하는 구조적 전환점이라는 데 큰 의미가 있다. 모든 절차는 투명하게 공개되며, 공정한 검증 절차를 통해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는 참된 인재가 발탁될 수 있도록 추진된다. 이재명 정부는 “국민 여러분의 다채로운 경험과 시각이 국정 운영에 적극 반영될 수 있도록 뜻을 모아달라”며 “우리가 함께 써 내려갈 ‘국민주권정부’의 새 역사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뉴스
    • 정치
    2025-06-10
  • [대한기자신문=사설] 정치는 타이밍이고, 신뢰는 행동으로 증명된다
    사진: 대한기자신문 이창호 대표칼럼리스트 [대한기자신문 이창호 대표칼럼리스트] 정치는 타이밍이다. 아무리 좋은 정책도 시기를 놓치면 효과를 거두기 어렵다. 국민의 마음도 마찬가지다. 너무 일러도 공감을 얻기 어렵고, 너무 늦으면 신뢰를 잃는다. 정치 지도자는 무엇보다 ‘언제, 무엇을, 어떻게 말하고 행동할 것인가’를 치밀하게 판단해야 한다. 타이밍을 제대로 읽는 정치인은 기회를 살린다. 프랭클린 루스벨트는 대공황 시기 뉴딜 정책으로 미국을 회복시켰고, 박정희 정부는 산업화라는 시대적 요구에 맞춘 경제개발 5개년 계획으로 한국의 근대화를 이끌었다. 반면 소련의 고르바초프는 개혁의 필요성을 인식했지만, 시기와 방식에서 실패하며 국가 해체를 막지 못했다. 선거도 타이밍의 정치다. 민심의 방향을 읽고, 그 흐름에 맞춰 정책을 내세워야 한다. 시기를 잘못 판단하면 아무리 진정성 있는 주장도 공허하게 들린다. 최근 일부 정치인들이 선거에 관해 ‘늦은 사과’나 ‘뒤늦은 입장 표명’을 하는 모습은 오히려 정치에 대한 불신만 더 키우고 있다. 하지만, 정치의 본질은 단지 타이밍에 머물지 않는다. 그 바탕에 깔린 건 신뢰다. 아무리 타이밍에 옳은 말을 해도, 신뢰를 잃은 정치인의 말은 국민의 마음에 닿지 않는다. 신뢰는 하루아침에 쌓이지 않는다. 말보다 실천, 행동으로 증명해야 한다. 국민은 정치인의 언행을 지켜본다. 공약을 지켰는가, 위기 앞에서 책임졌는가, 권력을 어떻게 썼는가. 결국 신뢰는 말이 아니라 행동의 결과다. 정치인이 정책을 추진할 때마다 국민은 ‘과거에 어떻게 했는가’를 떠올린다. 약속을 지키는 정치인이 위기 때도 국민의 지지를 받는 이유다. 신뢰의 핵심은 투명성과 책임감이다. 국민은 정치를 완벽하길 바라지 않는다. 오히려 실수했을 때, 솔직하게 인정하고 책임지는 모습을 보고 신뢰를 회복한다. 반면, 책임을 회피하거나 국민을 무시하는 듯한 태도는 한번 잃은 신뢰를 회복하지 못하게 만든다. 한국의 정치가 국민에게 신뢰받기 위해선 타이밍과 신뢰, 이 두 가지를 동시에 회복해야 한다. 기회는 늘 오지 않는다. 그러나 준비된 정치인만이 기회를 포착할 수 있다. 그리고 그 기회를 살리려면 평소의 실천과 성실함, 즉 국민과의 신뢰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작금 한국의 정치가 필요한 건 화려한 말이 아니다. 행동으로 증명하는 용기, 그리고 타이밍을 읽는 통찰력이다. 국민은 정치인을 냉정하게 평가하고 있다. ‘때를 알고, 국민을 믿고, 약속을 실천하는 정치인’만이 신뢰를 얻는다. ▼자발적, 원고료로 응원해 주세요! *예금주 : 대한기자신문 *계좌 : 우체국 110-0053-16317
    • 뉴스
    • 정치
    2025-06-09
  • 【대한기자신문=김한준 박사의 시선】대한민국 정치 통합 전략② 정치 구조 개혁: 이분법 정치를 해체하다
    ▲김한준 박사【평생교육,Life-Plan전문가】 “정치를 바꾸기 전엔, 통합을 말할 수 없다.” 2025년 대선 직후, 한 유권자는 이렇게 말했다. “이번에도 결국 ‘덜 나쁜 사람’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다. 내가 원하는 정치는 그 어느 후보에게도 없었다” 이는 단순한 체념이 아니라 양당 독점 구조와 승자독식 제도가 유권자에게 남긴 좌절의 기록이다. 지역과 이념으로 분할된 정치 구조는 통합을 방해하고, 유권자는 전략적 도구로 전락한다. 진정한 통합은 정치 구조의 해체와 재설계 없이 이루어질 수 없다. 현재의 소선거구제는 거대 정당에게만 유리하고, 소수 의견은 국정에 반영되기조차 어렵다. 2024년 총선에서 정의당, 기본소득당, 녹색당 등은 310만 표를 얻고도 고작 9석만 확보했다. 이는 민의를 왜곡하고, 선거 제도가 정치에 대한 신뢰를 무너뜨리는 방식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대통령 선거에서도 과반 득표자가 없는 경우가 반복되지만, 결선투표제가 없어 대표성 결여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2025년 대선에서도 이재명 후보는 48.7%로 당선되었고, 나머지 51.3%는 제도 안에서 사라졌다. 이는 대의제 민주주의의 기본 원칙에도 반하는 결과다. 정치 구조 개혁의 첫걸음은 연동형 비례대표제의 전면 도입이다. 독일은 혼합비례대표제(MMP)를 통해 정당득표율과 의석 비율을 일치시켜 소수 정당의 의회 진입을 가능하게 했으며, 뉴질랜드도 유사한 제도를 통해 녹색당·마오리당이 환경·복지 정책을 주도할 수 있었다. 이는 민의의 다양성을 반영하고 사회통합 기반을 강화하는 효과를 입증한 사례다. 한국에서도 2019년 도입된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실험은 일부 성과에도 불구하고, 위성정당의 출현으로 본래 취지가 왜곡된 바 있다. 따라서 이번에는 위성정당 방지장치(정당 득표율 진입장벽 3~5%, 회계공시 강화, 후보 겸직 제한 등)를 법제화해 안정성을 확보해야 한다. 또한 정당 활동의 지역 안착을 유도하기 위해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병행하는 방안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 제도 하나만으로 정치 통합이 보장되지는 않는다. 연동형 비례대표제는 정치 통합의 충분조건이 아닌 필요조건일 뿐이며, 제도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유권자 교육 강화, 정당 내부 민주주의 확대, 정당 평가 시스템 구축 같은 보완 전략이 반드시 병행되어야 한다. 둘째, 결선투표제 도입은 대표성 회복과 갈등 완화에 효과적이다. 프랑스는 극단주의 정당의 집권을 막기 위해 결선투표제를 도입했고, 중도 연합과 협치를 제도화하는 데 성공했다. 대한민국도 결선투표를 도입할 경우, 제3후보의 지속 가능성이 높아지고 유권자의 다양한 선택이 존중될 수 있다. 결선투표에 드는 비용과 유권자의 피로도에 대한 우려는, '자동 결선투표 시스템(ARV)'이나 디지털 플랫폼 투표 방식으로 완화 가능하다. 도입 초기에는 대선과 광역단체장 선거에 한정해 시범 적용 후, 평가를 통해 단계적 확대가 바람직하다. 특히 결선투표는 혐오정치의 종식을 유도하고, 단일화 압박 없이 가치 중심의 선거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셋째, 기초정당법 제정을 통한 지역 정치 실험 제도화가 필요하다. 지금의 정당법은 중앙당 중심으로 설계되어 있어, 지역 단위의 자율적 정당 설립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독일, 스위스, 스웨덴 등은 지방 정당이 지역 교통, 복지, 에너지 정책을 주도하면서 주민참여형 정치를 실현하고 있다. 한국도 시·군·구 단위에서 기초정당을 허용하면, 청년·여성·시민사회 인재들이 정당정치에 진입할 수 있고, 생활정치 기반이 강화될 수 있다. 국회 차원에서 지방정치 활성화를 위한 초당적 협의체 구성과 지방선거법 개정이 병행되어야 한다. 아울러 기초정당의 지속 가능성을 위해 지자체별로 정치교육 및 공론장 운영 예산을 지원하는 제도도 필요하다. 이 제도들은 구조 개혁의 강력한 수단이지만, 사회적 조건과 문화적 기반 없이는 기대한 효과를 얻기 어렵다. 그것은 곧 정치 통합을 가능케 하는 기반이며,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는 가장 현실적 경로다. 2028년 총선을 기점으로 이 개혁들이 실현된다면, 대한민국은 거대 양당 구조를 넘어 다양한 의견이 공존하는 정치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유권자는 전략이 아니라 신념을 기준으로 투표하게 되며, 정치는 여의도에서가 아니라 국민 곁에서 완성될 것이다. 통합은 구호가 아니라 설계의 문제이며, 그 설계는 실천을 통해 증명되어야 한다. 지금이야말로 정치 개혁의 문을 열어야 할 시간이다. 글/사진: 김한준 박사 【비전홀딩스 원장, Life-Plan전문가, 칼럼니스트】는 경영·교육·생애설계 분야 명강사. 공공기관 책임자 및 칼럼니스트로 활동 중이며, 인생 후반기 생애설계 리더십과 미래사회 전략을 주제로 명강의를 이어가고 있다. (개인메일 charlykim@hanmail.net) ▼자발적, 원고료로 응원해 주세요! *예금주 : 대한기자신문 *계좌 : 우체국 110-0053-16317
    • 뉴스
    • 정치
    2025-06-09
  • [대한기자신문] 서영교 의원, 민주당 원내대표 출사표... "이재명 정부 성공 적극 뒷받침"
    사진: 서영교국회의원/대한기자신문 [대한기자신문 이준 기자] 더불어민주당 4선 중진인 서영교 의원이 5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차기 원내대표 선거 출마를 공식 선언했다. 서 의원은 "이재명 정부 아래 첫 여당 원내대표로서 정부의 성공을 적극 뒷받침하겠다"는 포부를 밝히며, 이재명 대통령 중심의 단결을 통한 정부의 빠르고 안정적인 운영을 강조했다. 서 의원은 주요 공약으로 △경제 활성화를 위한 신속한 추가경정예산(추경) 집행 △권력형 비리 의혹 규명을 위한 '내란·김건희·채상병 특검'의 조속한 실시 △국민을 위한 입법·정책 추진을 위한 야당과의 협치 등을 제시했다. 서 의원은 "내란을 완전히 종식시키고 경제를 살릴 수 있도록 입법·정책·예산에 최선을 다하겠다"며 정부 여당 원내대표로서 국민, 당원, 동료 의원들과 소통하며 국민을 위한 정책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번 원내대표 선거에는 권리당원 투표가 20% 반영되는 만큼, 서 의원은 최고위원과 행정안전위원회 위원장 등 당 지도부와 상임위원장 경험을 내세워 민생 과제를 선제적으로 해결해 나가겠다고 당원들에게 호소했다. 일각에서 제기되는 '강성 의원' 이미지로 인한 야당과의 협치 어려움에 대한 우려에 대해 서 의원은 "윤석열 정부의 불의에만 단호했을 뿐"이라고 일축했다. 이어 "국민의힘과 그간 충분히 소통했고 여순특별법 등 야당을 설득해 만장일치로 법을 통과시킨 경험도 다수 있다"며 자신의 협치 능력을 강조했다. 사진: 서영교 국회의원(서영교FB)/대한기자신문 또한, 문재인 정부 시절 원내수석부대표와 행안위원장으로 활동하며 여야 협치를 통해 16개 상임위 중 가장 많은 법안을 통과시킨 경험을 언급하며, "국민께 인정받는 국회가 되도록 야당과 적극 소통하겠다"고 다짐했다. 한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후보 등록은 어제(6일) 마감되었으며, 서영교 의원과 3선인 김병기 의원이 등록을 마치면서 양자 대결 구도가 확정됐다. 차기 민주당 원내대표는 오는 13일 선출될 예정이다
    • 뉴스
    • 정치
    2025-06-08

실시간 정치 기사

  • [대한기자신문=단독] 아시아태평양세계무역센터연맹 회장 리명성,'한중수교 33주년 기념포럼' 축사(영상)
    大家好!我是亚太世界贸易商务联盟会长李明星。 首先热烈祝贺举办“中韩建交33周年纪念论坛”。 中韩建交33年来,在两国人民的共同努力下,双边政治、经济、文化、社会各领域取得了举世瞩目的成就,如今形成全面战略合作伙伴关系,不仅给两国关系健康发展奠定了良好基础,也为全球合作增添了积极的正能量。 期待此次论坛,通过大家的深度讨论,客观总结建交33年来的宝贵经验,正面提出开创美好未来的建设性建议,为中韩两国关系的更加健 康稳定可持续发展做出积极贡献。 预祝论坛圆满成功。谢谢! 안녕하십니까. 아시아태평양세계무역센터 회장 이명성입니다. 먼저, 『한·중 수교 33주년 기념 포럼』의 뜻깊은 개최를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한국과 중국은 수교 이래 지난 33년 동안 양국 국민의 헌신과 노력 속에 정치, 경제, 문화, 사회 등 다양한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이뤄냈습니다. 이러한 성취는 단순한 양자 관계를 넘어, 전면적인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의 토대를 공고히 하는 데 크게 기여했으며, 동시에 세계 무대에서도 긍정적인 에너지를 확산시키는 원동력이 되었습니다. 이번 포럼이 그간의 귀중한 협력의 여정을 객관적으로 성찰하고, 앞으로의 10년, 30년을 향한 건설적인 방향과 비전을 제시하는 자리로 거듭나기를 기대합니다. 아울러 여러분의 심도 있는 논의가 양국 관계의 건강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실질적인 기여로 이어지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한·중 수교 33주년 기념 포럼』의 성공적인 개최를 다시 한 번 기원드리며, 함께하신 모든 분들의 건승과 평안을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 뉴스
    • 정치
    2025-06-12
  • 【대한기자신문=김한준 박사의 시선】대한민국 정치 통합 전략 ⑤ 통합 리더십의 조건: 강한 지도자 아닌 신뢰받는 지도자
    ▲김한준 박사【평생교육,Life-Plan전문가】 “지도자의 품격은 말이 아니라 태도에서 드러난다. 위기 속에서 신뢰받는 지도자야말로 진정한 통합의 중심이다.” 2025년, 대한민국은 다시 한 번 권력의 전환기를 맞이했다. 그러나 이번 전환은 평화로운 선거가 아닌, 대통령 파면이라는 헌정사 초유의 사태를 배경으로 했다. 비상계엄령과 국회 봉쇄, 시민 기본권 침해라는 충격 속에서도 유권자는 다시 투표소로 향했고, 민주주의는 무너지는 듯한 순간에도 자신을 재건하는 선택을 해냈다. 그 선택의 중심에 ‘통합’을 내건 이재명 대통령이 있었다. 하지만 진짜 통합은 당선의 언어가 아니라, 통치의 방식으로 증명돼야 한다. 오늘날 시민은 ‘강한 리더’를 원하지 않는다. 그들이 바라는 것은 위기 속에서도 믿고 따를 수 있는 ‘신뢰의 리더’다. 과거 권위주의 정권은 위기 때 군림하는 방식으로 권력을 행사했다. 그러나 21세기 대한민국이 맞이한 위기는 단순한 통치의 기술이 아니라, 신뢰 복원이라는 근본 숙제를 던지고 있다. 그동안 정치 무대는 갈등을 소비하는 퍼포먼스 중심으로 운영돼 왔다. ‘쇼통’이라는 말이 생길 만큼, 정치인의 언어는 공감보다 연출에 집중되었고, 국정 메시지는 단편적 반응성에 그쳤다. 특히 계엄령 사태 이후 “누가 강한가”라는 권력형 리더십 논쟁이 다시 불붙었지만, 이제는 질문을 바꾸어야 한다. “누가 신뢰받는가”가 되어야 한다. 통합 리더십은 무엇보다 첫째, 국정의 메시지를 구조화하고 국민 신뢰의 구조를 설계할 수 있어야 한다. 리더의 발언은 단지 해명이 아니라, 사회 전체가 나아갈 방향의 이정표가 되어야 한다. 뉴질랜드의 저신다 아던 전 총리는 코로나19 초기 “강한 메시지보다 정확한 메시지”를 선택했고, 공감과 신뢰를 끌어냈다. 둘째, 인사의 통합 전략이 필요하다.특정 정파나 지역, 이념에 편중된 인사는 국정 초기에 통합 가능성을 차단한다. 통합형 리더십은 전문가와 현장성을 갖춘 인재를 포용하는 전략에서 출발한다. 1997년 금융위기 이후 김대중 정부는 보수 경제관료와 진보 성향 인사를 혼합 포진시켜 위기를 극복했고, 이는 정책 신뢰와 국민 수용성 제고에 기여했다. 셋째, 시민의 말과 감정을 받아들이는 ‘낮은 리더십’이 핵심이다.프랑스 마크롱 대통령은 통합을 위해 지역 순회 토론회를 열고 ‘무시된 시민들의 분노’를 직접 듣는 방식으로 행정 개편의 정당성을 확보하려 했다. 국민의 감정은 통계나 숫자가 아니라, ‘경청’이라는 실천으로만 이해될 수 있다. 이제는 대한민국도 ‘햇볕론 vs 바람론’이라는 양자택일의 정치 리더십을 넘어야 한다. 햇볕처럼 포용하면서도 바람처럼 단호한 원칙을 지키는 제3의 실천형 통합 리더십이 필요한 시대다. 이재명 정부는 ‘말 잘하는 지도자’에서 ‘경청하고 증명하는 지도자’로 전환해야 한다. 그러나 이런 통합형 리더십이 과연 가능한가? 국정 메시지를 정교하게 설계해도, 내부 의사결정 구조가 폐쇄적이면 현장의 신뢰는 확보되지 않는다. 인사 전략을 세워도, 실질 권한자들이 여전히 ‘보은 인사’에 의존한다면 그 구상은 껍데기에 불과하다. 낮은 리더십을 외쳐도, 시민 감정을 흘려보내는 미디어 환경이 바뀌지 않으면 경청은 형식에 머문다. 이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반대급부적 대비가 필요하다. 첫째, 국정 메시지 구조화는 국정홍보처의 업무가 아니라, 부처 협업과 시민사회 소통 시스템을 제도화해야 한다. 둘째, 인사 시스템은 코드 인사 배제를 넘어서 ‘인사 검증 시민위원회’ 같은 공정한 통합적 검증 절차를 도입해야 한다. 셋째, ‘낮은 리더십’은 선언이 아닌 습관이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정례 브리핑, 지역 간담회, 민감 이슈에 대한 공개 피드백 같은 구체적 시스템이 필요하다. 2028년 제23대 총선을 앞둔 지금, 대한민국은 또 한 번 정치 통합의 시험대에 서 있다. 통합은 말의 수사가 아니라, 권력의 운용 방식이 증명하는 것이다. 진짜 강한 지도자는 더 많은 말을 하는 사람이 아니라, 더 많은 사람의 말을 듣고 더 많은 행동으로 응답하는 사람이다. ✔ “통합은 힘이 아니라 신뢰로 설계되어야 하며, 실천이 쌓일 때 비로소 그 리더십은 완성된다.” 글/사진: 김한준 박사 【비전홀딩스 원장, Life-Plan전문가, 칼럼니스트】는 경영·교육·생애설계 분야 명강사. 공공기관 책임자 및 칼럼니스트로 활동 중이며, 인생 후반기 생애설계 리더십과 미래사회 전략을 주제로 명강의를 이어가고 있다. (개인메일 charlykim@hanmail.net)
    • 뉴스
    • 정치
    2025-06-12
  • 【대한기자신문=김한준 박사의 시선】대한민국 정치 통합 전략④ 사회문화 통합: 말의 품격에서 시작하라
    ▲김한준 박사【평생교육,Life-Plan전문가】 “정치는 말로 시작되고, 사회는 말의 방식으로 성숙해진다.” 이 말은 수많은 갈등과 오해의 반복 끝에 우리가 돌아봐야 할 진실이다. 지금 한국 사회는 정치적 구호보다 언어의 품격 회복이 더 시급한 시대에 접어들었다. 2025년 계엄 사태와 탄핵, 그리고 재선거를 거치며 한국 사회는 제도적 변화를 넘어 감정의 균열을 드러냈다. 문제는 제도보다 언어였다. 이념적 조롱어들이 정치를 마비시키고, 공론장을 혐오의 각축장으로 바꾸었다. 언어는 더 이상 소통의 수단이 아니라, 대결과 배제의 도구가 되었다. 언론은 혐오를 자극적으로 보도했고, 정치권은 이러한 언어를 전략적으로 소비하며 지지층 결속에 이용했다 SNS 알고리즘은 분열을 확증편향으로 고정시키며 ‘다름’을 ‘적대’로 착각하게 만들었다. 이런 구조를 단지 ‘말의 문제’로 치부할 수 있을까. 실제로 한국언론진흥재단의 2024년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3년간 주요 언론과 포털 뉴스에서 갈등 프레임(예: 책임 전가, 이념 분리 등)은 48% 증가했다. 플랫폼이 유사한 의견만 반복 노출하면서 상대 진영에 대한 ‘이해 불가능’이라는 정서적 벽을 더욱 견고하게 만든다. 그러나 다른 나라들은 이 언어의 문제를 제도와 문화의 조합으로 풀어가고 있다. 독일은 2018년 ‘네트워크 집행법’을 통해 SNS 상의 혐오 표현에 벌금 부과와 삭제 의무를 명시하고, 표현의 자유와 공동체 존중 사이의 경계를 분명히 했다. 캐나다는 다문화 커뮤니케이션 교육을 공공기관과 학교에 의무 편성하여, 다양한 세대와 문화 간 언어적 존중을 체계적으로 내면화하도록 유도했다. 뉴질랜드에서는 아던 총리가 크라이스트처치 테러 직후 무슬림 공동체와의 공감적 대화를 주도하며, ‘공감의 리더십’을 사회적 가치로 전환시켰다. 이들 국가는 모두 법·교육·리더십이라는 삼각 축을 통해, 분열을 조장하는 언어를 통합의 언어로 전환하는 데 성공했다. “우리가 사용하는 말은 단지 표현이 아니라,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이다.”–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이처럼 언어는 단지 전달의 수단이 아니라, 사회적 인식을 형성하는 구조적 힘이다. 공감과 소통은 단순한 정보 제공보다 말의 방식에서 출발하며, 결국 통합의 정치도 언어의 정치로부터 시작된다. 한국 사회도 이제 구조적 전환이 필요하다. 첫째, 정치인과 공직자, 언론인의 공적 언어 사용에 대해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설정하고, 위반 시 의회나 방송윤리 차원의 실질적 제재를 가해야 한다. 모욕과 혐오는 자유가 아니라 책임의 대상이다. 둘째, 시민이 다양한 시각의 콘텐츠를 접할 수 있도록 통합형 뉴스 플랫폼을 설계해야 한다. 공영방송, 언론재단, 시민단체가 협업하는 ‘팩트체크 허브’는 감정의 과열을 줄이는 정제 장치가 될 수 있다. 셋째, 초·중등 및 평생교육 과정에 ‘존중 커뮤니케이션’과 ‘갈등 언어 이해’ 과목을 포함시켜야 한다. 특히 세대·지역 간 감정의 벽은 결국 언어의 벽이며, 이를 넘어서는 공감 콘텐츠는 교육과 문화예술의 힘으로 확산되어야 한다. 넷째, 다큐멘터리, 연극, 시나리오 공모전 등 문화예술 기반 감정연결 프로젝트를 통해 시민 서사의 회복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이러한 전략이 통합을 보장하는 ‘만능 해결책’일 수 있을까.만일 법이 만들어져도 정치권이 여전히 혐오 언어로 상대를 공격한다면? 시민교육이 확대되어도 플랫폼 구조 자체가 혐오와 자극을 보상하는 알고리즘을 유지한다면? 제도는 도입되었지만, 정치는 여전히 갈등을 자산으로 활용한다면? 이 질문은 통합전략의 명백한 한계를 지적한다. 단지 ‘바꿔야 한다’는 선언만으로는 부족하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우리는 반대급부적 현실에 대한 대비도 필요하다. 첫째, SNS 플랫폼 사업자에 대한 법적 책임을 강화하고, 혐오 표현 발생 시 삭제 의무와 함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도 병행해야 한다. 둘째, 정치권의 언어 사용 실태를 감시하는 독립기구를 설립하고, 정당별 자정지수 평가를 공개함으로써 책임 정치를 유도할 수 있다. 셋째, 시민참여형 언어감수성 프로그램을 공론장에 도입하여, 혐오를 예방하는 집단지성을 키워야 한다. 언어의 통합은 제도보다 사람의 의식 변화에서 출발하며, 이는 공공의 경험과 훈련을 통해 가능하다. 2028년 총선을 앞둔 지금, 한국 정치가 품격 있는 언어로 국민의 신뢰를 회복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일지도 모른다. 말의 전환 없이는 정치의 전환도 없다. 품격 있는 언어는 정치의 기반이자, 사회통합의 출발선이다. “통합은 말의 방식에서 시작되고, 존중은 정치의 새로운 권력이 된다.” 글/사진: 김한준 박사 【비전홀딩스 원장, Life-Plan전문가, 칼럼니스트】는 경영·교육·생애설계 분야 명강사. 공공기관 책임자 및 칼럼니스트로 활동 중이며, 인생 후반기 생애설계 리더십과 미래사회 전략을 주제로 명강의를 이어가고 있다. (개인메일 charlykim@hanmail.net) ▼자발적, 원고료로 응원해 주세요! ▪︎예금주: 대한기자신문 ▪︎계좌: 우체국 110-0053-16317
    • 뉴스
    • 정치
    2025-06-11
  • [대한기자신문] 이재명 대통령,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첫 정상 통화…APEC 정상회의 초청
    사진: 한국 이재명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 2025.6.10 [사진=대한기자신문DB] [대한기사신문 이준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6월 10일 오전 11시 30분부터 약 30분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취임 후 첫 전화 통화를 가졌다. 이번 통화는 지난 6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9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의 통화에 이어 세 번째 해외 정상과의 통화다. 이 대통령은 통화에서 오는 11월 경북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시진핑 주석을 공식 초청했다. 양 정상은 한중 양국이 경제, 문화, 인적 교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 성과를 만들어내기 위해 공동 노력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시진핑 주석은 이 대통령의 당선을 축하하며 “한중은 옮겨갈 수 없는 가까운 이웃”이라고 강조했고, 양국이 서로의 핵심 이익과 중대 관심사를 존중하며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더 높은 수준으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한중 관계를 매우 중시하며, 양국 국민 간 감정 개선과 협력 증진에 힘쓰겠다”고 화답했다. 이 대통령은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안정을 위한 중국의 건설적 역할도 당부했다. 시진핑 주석은 “한반도 평화와 안정은 양국의 공동 이익”이라며 문제 해결을 위한 적극적 역할을 약속했다. ▼자발적, 원고료로 응원해 주세요! ▪︎예금주: 대한기자신문 ▪︎계좌: 우체국 110-0053-16317
    • 뉴스
    • 정치
    2025-06-10
  • [대한기자신문]“국민이 직접 이끄는 정부” 국민주권시대 선언… 국민추천제 본격 시행
    국민추천제 포스터/이재명대통령FB [서울=대한기자신문 이강문 기자] “국민과 함께, ‘국민주권정부’의 문을 엽니다.” 정부는 진정한 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새로운 인사 제도로 ‘국민추천제’를 본격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제도는 국민이 직접 유능한 인재를 발굴하고 국가 운영에 참여하는 참여형 민주주의 모델로 평가받는다. 이재명 정부 관계자는 “이제는 국민이 주인이 되어 직접 변화를 이끄는 시대”라며, “묵묵히 헌신해온 숨은 인재, 국민을 위해 일할 준비가 된 유능한 인물들에게 새로운 기회의 문이 열릴 것”이라고 전했다. 이번 추천제는 단순한 인사 방식의 전환을 넘어, 국민이 국가 운영의 주체로서 주도권을 행사하는 구조적 전환점이라는 데 큰 의미가 있다. 모든 절차는 투명하게 공개되며, 공정한 검증 절차를 통해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는 참된 인재가 발탁될 수 있도록 추진된다. 이재명 정부는 “국민 여러분의 다채로운 경험과 시각이 국정 운영에 적극 반영될 수 있도록 뜻을 모아달라”며 “우리가 함께 써 내려갈 ‘국민주권정부’의 새 역사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뉴스
    • 정치
    2025-06-10
  • 【대한기자신문=김한준 박사의 시선】대한민국 정치 통합 전략③ 세대가 참여하는 정치, 모두가 만드는 통합
    ▲김한준 박사【평생교육,Life-Plan전문가】 “세대는 단지 나이의 차이가 아니라, 시대를 해석하는 방법의 차이다.” “진심으로 들어주는 사람만이 통합을 말할 자격이 있다.”라는 말처럼, 지금 정치에 필요한 것은 ‘듣는 능력’이다. 2025년 제21대 대통령선거는 단순한 정권 교체를 넘어, 한국 정치가 직면한 세대 분열의 민낯을 드러낸 선거였다. 탄핵과 계엄이라는 비상한 사태 이후 치러진 이번 선거에서 유권자들은 '진영'이 아니라 '세대'로 갈라졌다. MZ세대는 변화와 공정, 그리고 생존의 정치를 말했고, 중장년과 고령층은 안정을 선택했다. 그 갈라진 선택의 뿌리는 가치관, 경험, 정치에 대한 기대의 차이에서 비롯되었다. 정치적 시간 감각역시 달랐다. 젊은 세대는 미래를 기준으로 판단하고, 기성세대는 과거에 대한 평가로 투표했다. 정치에 대한 피로감, 반복되는 실망, 그리고 제한된 대안 속에서 20~30대는 '덜 나쁜 쪽'이 아닌 '내가 살아갈 세상을 바꿀 쪽'을 요구했다. 반면 60대 이상은 안정과 질서를 지키는 정당을 고수함으로써 자신이 믿어온 삶의 방식과 이념을 보존하고자 했다. 지역과 성별을 교차해보면 이 분열은 더욱 뚜렷해진다. 수도권과 광역 대도시에서는 MZ세대의 진보 성향이 강하게 나타났지만, 지방과 고령 인구가 많은 지역에서는 보수적 투표 패턴이 고착됐다. 성별로도 여성은 변화와 안전에 민감하게 반응한 반면, 남성층은 경제적 실리와 전통 질서에 더 무게를 두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분열을 통합으로 전환하기 위한 정치의 역할은 단순한 '통합'이라는 선언으로는 부족하다. 정치 구조 자체가 세대 간 공존을 제도적으로 가능하게 만들어야 한다. 예컨대 청년 기본소득이나 주거안정정책은 단지 생계의 문제를 넘어, 세대 공정성을 회복하기 위한 국가의 책임이라는 정치적 의미를 가져야 한다. 또한공개성과 참여의 확대가 필요하다. 정치는 더 이상 일부 계층이나 기득권의 것이 아니라, 모든 세대가 의견을 개진하고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구조로 재편되어야 한다. 정당은 세대별 정책소통 창구를 별도로 운영하고, 주요 정책에 대한 세대별 영향 분석을 의무화하는 ‘세대영향평가제’를 법제화할 필요가 있다. 이 제도는 정책 수립 전후로 청년, 장년, 노년 각 세대에 미치는 효과를 계량화해 갈등을 예방하고 정책 수용성을 높인다. 또한 주요 정책위원회에는 세대 대표성을 확보하기 위해 ‘세대 대표 반영 규정’을 명문화하고, 모든 법안 논의 과정에서 일정 비율의 세대별 의견이 반영되도록 제도화해야 한다.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디지털 기반 여론 연계 시스템’은 국민참여플랫폼을 통해 실시간 피드백을 수집하고 정책 반영 여부를 투명하게 공개함으로써 신뢰를 높일 수 있다. 그러나 '공개성 확대'나 '참여 제도화'만으로는 세대 통합이 완성되지 않는다. 정보는 공개되더라도 해석의 격차가 존재하고, 참여의 통로가 있다고 해서 모두가 실질적으로 참여하는 것은 아니다. 참여 역량의 차이, 디지털 격차, 정책 반영의 실효성 부족 등이 제도 효과를 반감시킬 수 있다. 더구나 정치 엘리트 구조가 변화하지 않는다면, 제도는 형식에 머물 위험이 크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 첫째, 세대 간 상호 학습 구조를 마련해야 한다. 예를 들어 시민공론장에서 세대별 대표를 의무적으로 포함하고, 공동 과제를 통해 서로의 삶과 언어를 이해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둘째, '세대 이익 조정기구'를 설치해 정책 갈등을 조정하고 합의 기반을 형성해야 한다. 셋째, 언론과 교육이 세대 갈등을 자극하는 대신 다양성을 이해하는 프레임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맡아야 한다. 한국행정연구원의 2024년 보고서에 따르면, 2030세대의 68.4%는 “정치에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이 제한적”이라고 답했고, 60대 이상은 71.2%가 “청년세대가 국가 예산에서 과도한 혜택을 받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다.이러한 인식 격차를 좁히지 않는 한, 공개성이나 제도 개선은 효과를 내기 어렵다. 결국 세대 갈등은 단절이 아니라 새로운 정치를 향한 요청이다. 갈등을 방치하면 분열이 되고, 관리하면 발전의 동력이 된다. 정치는 이제 '세대의 전쟁'이 아니라 '세대의 설계자'가 되어야한다. 그것이 민주주의의 다음 진화이며, 통합의 진정한 출발점이다. 글/사진: 김한준 박사 【비전홀딩스 원장, Life-Plan전문가, 칼럼니스트】는 경영·교육·생애설계 분야 명강사. 공공기관 책임자 및 칼럼니스트로 활동 중이며, 인생 후반기 생애설계 리더십과 미래사회 전략을 주제로 명강의를 이어가고 있다. (개인메일 charlykim@hanmail.net) ▼자발적, 원고료로 응원해 주세요! ▪예금주: 대한기자신문 ▪계좌: 우체국 110-0053-16317
    • 뉴스
    • 정치
    2025-06-10
  • [대한기자신문=사설] 정치는 타이밍이고, 신뢰는 행동으로 증명된다
    사진: 대한기자신문 이창호 대표칼럼리스트 [대한기자신문 이창호 대표칼럼리스트] 정치는 타이밍이다. 아무리 좋은 정책도 시기를 놓치면 효과를 거두기 어렵다. 국민의 마음도 마찬가지다. 너무 일러도 공감을 얻기 어렵고, 너무 늦으면 신뢰를 잃는다. 정치 지도자는 무엇보다 ‘언제, 무엇을, 어떻게 말하고 행동할 것인가’를 치밀하게 판단해야 한다. 타이밍을 제대로 읽는 정치인은 기회를 살린다. 프랭클린 루스벨트는 대공황 시기 뉴딜 정책으로 미국을 회복시켰고, 박정희 정부는 산업화라는 시대적 요구에 맞춘 경제개발 5개년 계획으로 한국의 근대화를 이끌었다. 반면 소련의 고르바초프는 개혁의 필요성을 인식했지만, 시기와 방식에서 실패하며 국가 해체를 막지 못했다. 선거도 타이밍의 정치다. 민심의 방향을 읽고, 그 흐름에 맞춰 정책을 내세워야 한다. 시기를 잘못 판단하면 아무리 진정성 있는 주장도 공허하게 들린다. 최근 일부 정치인들이 선거에 관해 ‘늦은 사과’나 ‘뒤늦은 입장 표명’을 하는 모습은 오히려 정치에 대한 불신만 더 키우고 있다. 하지만, 정치의 본질은 단지 타이밍에 머물지 않는다. 그 바탕에 깔린 건 신뢰다. 아무리 타이밍에 옳은 말을 해도, 신뢰를 잃은 정치인의 말은 국민의 마음에 닿지 않는다. 신뢰는 하루아침에 쌓이지 않는다. 말보다 실천, 행동으로 증명해야 한다. 국민은 정치인의 언행을 지켜본다. 공약을 지켰는가, 위기 앞에서 책임졌는가, 권력을 어떻게 썼는가. 결국 신뢰는 말이 아니라 행동의 결과다. 정치인이 정책을 추진할 때마다 국민은 ‘과거에 어떻게 했는가’를 떠올린다. 약속을 지키는 정치인이 위기 때도 국민의 지지를 받는 이유다. 신뢰의 핵심은 투명성과 책임감이다. 국민은 정치를 완벽하길 바라지 않는다. 오히려 실수했을 때, 솔직하게 인정하고 책임지는 모습을 보고 신뢰를 회복한다. 반면, 책임을 회피하거나 국민을 무시하는 듯한 태도는 한번 잃은 신뢰를 회복하지 못하게 만든다. 한국의 정치가 국민에게 신뢰받기 위해선 타이밍과 신뢰, 이 두 가지를 동시에 회복해야 한다. 기회는 늘 오지 않는다. 그러나 준비된 정치인만이 기회를 포착할 수 있다. 그리고 그 기회를 살리려면 평소의 실천과 성실함, 즉 국민과의 신뢰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작금 한국의 정치가 필요한 건 화려한 말이 아니다. 행동으로 증명하는 용기, 그리고 타이밍을 읽는 통찰력이다. 국민은 정치인을 냉정하게 평가하고 있다. ‘때를 알고, 국민을 믿고, 약속을 실천하는 정치인’만이 신뢰를 얻는다. ▼자발적, 원고료로 응원해 주세요! *예금주 : 대한기자신문 *계좌 : 우체국 110-0053-16317
    • 뉴스
    • 정치
    2025-06-09
  • 【대한기자신문=김한준 박사의 시선】대한민국 정치 통합 전략② 정치 구조 개혁: 이분법 정치를 해체하다
    ▲김한준 박사【평생교육,Life-Plan전문가】 “정치를 바꾸기 전엔, 통합을 말할 수 없다.” 2025년 대선 직후, 한 유권자는 이렇게 말했다. “이번에도 결국 ‘덜 나쁜 사람’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다. 내가 원하는 정치는 그 어느 후보에게도 없었다” 이는 단순한 체념이 아니라 양당 독점 구조와 승자독식 제도가 유권자에게 남긴 좌절의 기록이다. 지역과 이념으로 분할된 정치 구조는 통합을 방해하고, 유권자는 전략적 도구로 전락한다. 진정한 통합은 정치 구조의 해체와 재설계 없이 이루어질 수 없다. 현재의 소선거구제는 거대 정당에게만 유리하고, 소수 의견은 국정에 반영되기조차 어렵다. 2024년 총선에서 정의당, 기본소득당, 녹색당 등은 310만 표를 얻고도 고작 9석만 확보했다. 이는 민의를 왜곡하고, 선거 제도가 정치에 대한 신뢰를 무너뜨리는 방식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대통령 선거에서도 과반 득표자가 없는 경우가 반복되지만, 결선투표제가 없어 대표성 결여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2025년 대선에서도 이재명 후보는 48.7%로 당선되었고, 나머지 51.3%는 제도 안에서 사라졌다. 이는 대의제 민주주의의 기본 원칙에도 반하는 결과다. 정치 구조 개혁의 첫걸음은 연동형 비례대표제의 전면 도입이다. 독일은 혼합비례대표제(MMP)를 통해 정당득표율과 의석 비율을 일치시켜 소수 정당의 의회 진입을 가능하게 했으며, 뉴질랜드도 유사한 제도를 통해 녹색당·마오리당이 환경·복지 정책을 주도할 수 있었다. 이는 민의의 다양성을 반영하고 사회통합 기반을 강화하는 효과를 입증한 사례다. 한국에서도 2019년 도입된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실험은 일부 성과에도 불구하고, 위성정당의 출현으로 본래 취지가 왜곡된 바 있다. 따라서 이번에는 위성정당 방지장치(정당 득표율 진입장벽 3~5%, 회계공시 강화, 후보 겸직 제한 등)를 법제화해 안정성을 확보해야 한다. 또한 정당 활동의 지역 안착을 유도하기 위해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병행하는 방안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 제도 하나만으로 정치 통합이 보장되지는 않는다. 연동형 비례대표제는 정치 통합의 충분조건이 아닌 필요조건일 뿐이며, 제도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유권자 교육 강화, 정당 내부 민주주의 확대, 정당 평가 시스템 구축 같은 보완 전략이 반드시 병행되어야 한다. 둘째, 결선투표제 도입은 대표성 회복과 갈등 완화에 효과적이다. 프랑스는 극단주의 정당의 집권을 막기 위해 결선투표제를 도입했고, 중도 연합과 협치를 제도화하는 데 성공했다. 대한민국도 결선투표를 도입할 경우, 제3후보의 지속 가능성이 높아지고 유권자의 다양한 선택이 존중될 수 있다. 결선투표에 드는 비용과 유권자의 피로도에 대한 우려는, '자동 결선투표 시스템(ARV)'이나 디지털 플랫폼 투표 방식으로 완화 가능하다. 도입 초기에는 대선과 광역단체장 선거에 한정해 시범 적용 후, 평가를 통해 단계적 확대가 바람직하다. 특히 결선투표는 혐오정치의 종식을 유도하고, 단일화 압박 없이 가치 중심의 선거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셋째, 기초정당법 제정을 통한 지역 정치 실험 제도화가 필요하다. 지금의 정당법은 중앙당 중심으로 설계되어 있어, 지역 단위의 자율적 정당 설립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독일, 스위스, 스웨덴 등은 지방 정당이 지역 교통, 복지, 에너지 정책을 주도하면서 주민참여형 정치를 실현하고 있다. 한국도 시·군·구 단위에서 기초정당을 허용하면, 청년·여성·시민사회 인재들이 정당정치에 진입할 수 있고, 생활정치 기반이 강화될 수 있다. 국회 차원에서 지방정치 활성화를 위한 초당적 협의체 구성과 지방선거법 개정이 병행되어야 한다. 아울러 기초정당의 지속 가능성을 위해 지자체별로 정치교육 및 공론장 운영 예산을 지원하는 제도도 필요하다. 이 제도들은 구조 개혁의 강력한 수단이지만, 사회적 조건과 문화적 기반 없이는 기대한 효과를 얻기 어렵다. 그것은 곧 정치 통합을 가능케 하는 기반이며,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는 가장 현실적 경로다. 2028년 총선을 기점으로 이 개혁들이 실현된다면, 대한민국은 거대 양당 구조를 넘어 다양한 의견이 공존하는 정치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유권자는 전략이 아니라 신념을 기준으로 투표하게 되며, 정치는 여의도에서가 아니라 국민 곁에서 완성될 것이다. 통합은 구호가 아니라 설계의 문제이며, 그 설계는 실천을 통해 증명되어야 한다. 지금이야말로 정치 개혁의 문을 열어야 할 시간이다. 글/사진: 김한준 박사 【비전홀딩스 원장, Life-Plan전문가, 칼럼니스트】는 경영·교육·생애설계 분야 명강사. 공공기관 책임자 및 칼럼니스트로 활동 중이며, 인생 후반기 생애설계 리더십과 미래사회 전략을 주제로 명강의를 이어가고 있다. (개인메일 charlykim@hanmail.net) ▼자발적, 원고료로 응원해 주세요! *예금주 : 대한기자신문 *계좌 : 우체국 110-0053-16317
    • 뉴스
    • 정치
    2025-06-09
  • [대한기자신문] 서영교 의원, 민주당 원내대표 출사표... "이재명 정부 성공 적극 뒷받침"
    사진: 서영교국회의원/대한기자신문 [대한기자신문 이준 기자] 더불어민주당 4선 중진인 서영교 의원이 5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차기 원내대표 선거 출마를 공식 선언했다. 서 의원은 "이재명 정부 아래 첫 여당 원내대표로서 정부의 성공을 적극 뒷받침하겠다"는 포부를 밝히며, 이재명 대통령 중심의 단결을 통한 정부의 빠르고 안정적인 운영을 강조했다. 서 의원은 주요 공약으로 △경제 활성화를 위한 신속한 추가경정예산(추경) 집행 △권력형 비리 의혹 규명을 위한 '내란·김건희·채상병 특검'의 조속한 실시 △국민을 위한 입법·정책 추진을 위한 야당과의 협치 등을 제시했다. 서 의원은 "내란을 완전히 종식시키고 경제를 살릴 수 있도록 입법·정책·예산에 최선을 다하겠다"며 정부 여당 원내대표로서 국민, 당원, 동료 의원들과 소통하며 국민을 위한 정책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번 원내대표 선거에는 권리당원 투표가 20% 반영되는 만큼, 서 의원은 최고위원과 행정안전위원회 위원장 등 당 지도부와 상임위원장 경험을 내세워 민생 과제를 선제적으로 해결해 나가겠다고 당원들에게 호소했다. 일각에서 제기되는 '강성 의원' 이미지로 인한 야당과의 협치 어려움에 대한 우려에 대해 서 의원은 "윤석열 정부의 불의에만 단호했을 뿐"이라고 일축했다. 이어 "국민의힘과 그간 충분히 소통했고 여순특별법 등 야당을 설득해 만장일치로 법을 통과시킨 경험도 다수 있다"며 자신의 협치 능력을 강조했다. 사진: 서영교 국회의원(서영교FB)/대한기자신문 또한, 문재인 정부 시절 원내수석부대표와 행안위원장으로 활동하며 여야 협치를 통해 16개 상임위 중 가장 많은 법안을 통과시킨 경험을 언급하며, "국민께 인정받는 국회가 되도록 야당과 적극 소통하겠다"고 다짐했다. 한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후보 등록은 어제(6일) 마감되었으며, 서영교 의원과 3선인 김병기 의원이 등록을 마치면서 양자 대결 구도가 확정됐다. 차기 민주당 원내대표는 오는 13일 선출될 예정이다
    • 뉴스
    • 정치
    2025-06-08
  • [대한기자신문] 국제화의 시대, 이재명 대통령 실용주의 정책의 필요성을 말하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 취임선서식에서 취임 선서를 하고 있다. 2025.6.4(사진=문화체육관광부) ◈ 이념보다 현실, 국민의 삶을 위한 정책 전환이 절실하다 [대한기자신문 이강문 칼럼니스트] 21세기 들어 글로벌 정세는 급변하고 있습니다. 기후 변화, 팬데믹, 기술 혁신, 그리고 국제 질서의 재편까지, 그 어느 때보다 복잡하고 불확실한 시대를 우리는 함께 살아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현실은 전통적인 이념 중심 정책의 한계를 명확히 드러내고 있으며, 이제는 실용적이고 유연한 정책 대응이 ‘국가의 존립과 발전’을 좌우하는 핵심이 되고 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이 강조해 온 실용주의 노선이 주목받는 이유입니다. ◈ 이념이 아닌 문제 해결 중심의 경제 정책 실용주의는 정치적 진영 논리를 넘어서, 현실 문제 해결에 초점을 맞춘 접근입니다. 이재명 대통령의 경제 정책이 대표적입니다. 코로나19 이후, 세계 경제는 공급망 위기, 인플레이션, 고금리 등 삼중고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이재명 정부는 단기적 재정 지원을 통해 자영업자와 취약 계층을 보호하면서, 장기적으로는 반도체, AI, 바이오 등 미래 전략 산업에 대한 투자 확대를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경기 부양책이 아닌, 구조적 변화에 대비한 실용적 조치입니다. 아울러 산업 전환기에 접어든 지금, 실용주의는 기존 산업 보호와 신성장 동력 육성 사이에서 균형을 꾀하는 현실적인 선택입니다.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고 중소기업의 기술 역량을 강화하며, 디지털 전환을 적극 지원하는 정책들은 그 일환이라 할 수 있습니다. ◈ 삶의 질을 높이는 실질적 사회 정책 실용주의는 국민 삶의 질을 구체적으로 개선하는 데도 초점을 맞춥니다. 이재명 정부는 사회적 갈등 해소와 통합, 교육 개혁, 주택 안정이라는 핵심 과제에 실용적 해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노동 정책에 있어선 유연성과 안정성의 조화를 추구하며, 정규직과 비정규직,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격차 해소에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수도권 과밀 해소와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한 일자리 분산 정책 역시 현실적인 대안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교육 정책에서도 실용주의는 빛을 발합니다. 입시 중심 교육에서 벗어나 직업 교육 강화와 평생학습 체계 구축을 통해, 디지털 시대에 적합한 인재 양성을 지향하고 있습니다. 이는 청년층의 미래 불안을 해소하고 노동 시장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주택 정책 또한 예외는 아닙니다. 실용주의는 공급 확대와 투기 억제를 병행하며, 청년층과 신혼부부의 주거 안정을 중시합니다. 단기적 처방과 중장기 전략을 함께 모색하는 접근이 돋보입니다. ◈ 복잡한 국제 정세 속 실용주의 외교와 안보 외교·안보 분야에서도 실용주의는 절실합니다. 미·중 전략 경쟁,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북한의 도발 등 예측 불가능한 상황 속에서, 이재명 정부는 원칙과 유연성을 함께 갖춘 실용적 외교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동맹을 강화하면서도 다변적 외교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핵심 산업의 공급망을 국제적으로 안정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는 것입니다. 북한 문제 역시 강경 일변도나 유화 정책만으로는 해법이 없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확고한 억제력 확보와 조건부 대화 병행이라는 현실적인 전략으로 안보와 평화를 동시에 모색하고 있습니다. 또한, 반도체·이차전지 등 첨단기술 분야에서의 기술 외교와 자원 외교 확대도 실용주의 외교의 일환입니다. ◈ 실용주의는 정치가 아닌 삶의 문제 이재명 대통령의 실용주의 정책은 단순한 정치적 구호가 아닙니다. 이는 국민 개개인의 삶의 문제를 해결하고, 국가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루기 위한 접근입니다. 이념에 얽매이지 않고 과학적 근거와 데이터 기반 정책 결정을 통해 실효성을 높이는 방향은, 급변하는 세계 속에서 한국이 살아남고 도약하기 위한 가장 현실적인 길입니다. 기후 위기, 인구 구조 변화, 기술 혁명이라는 거대한 도전 앞에서, 실용주의는 유연성과 민첩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해법을 시도할 수 있는 전략적 자산입니다. 이재명 정부가 실용주의를 국정 전반에 체계적으로 반영한다면, 한국은 이 위기를 기회로 전환할 수 있을 것입니다. 국민 중심의 정치, 실용적 해결 중심의 정책. 이것이 이재명 대통령 실용주의의 본질입니다. 실용주의는 곧 우리 모두의 삶을 바꾸는 구체적인 동력이 될 수 있습니다. 다가오는 변화의 시대, 이재명 대통령의 실용주의가 그 해답이 될 것입니다. ▼자발적,원고료로 응원해 주세요! *예금주:대한기자신문 *계좌:우체국110-0053-16317
    • 뉴스
    • 경제
    2025-06-08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