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6-22(일)
  • 전체메뉴보기
 
  • 소화 개선부터 해독, 호흡기 질환까지… 무의 전통 약리 효과 주목

KakaoTalk_20250506_235144469.png

사진 : 무(무우)AI이미지/ 대한기자신문

 

[대한기자신문 이강문 기자] 중의학에서는 흔한 채소인 무(무우)를 다양한 효능을 가진 귀한 약재로 평가해 왔다. 특히 겨울철 무는 겨울 산삼이라 불릴 정도로 영양과 약효가 높아, 최근 현대인의 건강관리 관점에서도 그 가치가 재조명되고 있다.

 

무는 소화 기능 촉진 호흡기 건강 지원 간 해독 작용 요로결석 완화 체내 열 조절 등 다방면의 효과가 입증되어 있으며, 특히 무의 씨앗인 내복자(萊菔子) 역시 중의약재로 활용되고 있다.

 

소화 기능 개선생무즙, 밀가루 음식 소화에 도움

 

무에는 디아스타아제, 아밀라아제 등 소화 효소가 풍부해 탄수화물과 지방 분해를 돕는다. 중의학에서는 무즙을 밀가루 음식과 함께 섭취하면 소화불량과 속쓰림을 줄이고, 장내 독소를 중화하는 효과가 있다고 본다.

 

가래·기침 완화+전통 처방 인기

 

무의 시니그린 성분은 호흡기 점막을 자극해 가래를 묽게 하고 기침을 진정시킨다. 동의보감은 무를 만성 폐질환 치료에 사용했다고 기록한다. 특히 무와 배를 함께 즙내어 마시는 방식은 겨울철 감기 예방에 좋은 민간요법으로 알려져 있다.

 

간 해독 및 담배 독성 중화정조도 즐겨 섭취

 

무에 함유된 유황 성분과 베타인은 간의 해독 작용을 돕고 중금속, 흡연 독소 배출에 유익하다. 조선 정조대왕이 무를 애용했다는 기록도 있으며, 메밀국수와 함께 무즙을 곁들이는 전통은 메밀 내 미량 독성 중화를 위한 조리 지혜로 전해진다.

 

이뇨작용·요로결석 예방

 

무는 소변 생성을 촉진해 방광과 신장의 열을 내려주고, 요로결석 통증 완화에도 도움을 준다. 전통 처방인 명현고(瞑眩膏)’는 꿀에 절인 무를 구워 먹는 방식으로, 동의보감에 수록되어 있다.

 

열 내리고 갈증 완화생무는 냉성, 익히면 온성

 

생무는 서늘한 성질로 갈증과 두통, 코피 진정에 사용된다. 반면 익힌 무는 따뜻한 성질로 위장을 보호하고, 몸이 찬 체질에도 적합하다.

 

무씨(내복자)의 효능도 주목

무의 씨앗인 내복자는 기침과 가래 제거, 소화력 증진, 기 순환을 돕는 효능이 있다. 가루로 달여 먹거나, 직접 씹어 복용할 수 있으며, 일부 고전에서는 특정 약재와 병용 시 주의가 필요하다는 기록이 있다.

 

섭취 시 유의사항

 

생무는 고이트로겐(갑상샘 기능 억제 물질)을 포함하므로, 갑상샘 질환자는 익혀 먹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냉한 체질이거나 묽은 가래가 많은 경우에도 생무 섭취는 주의가 필요하다.

무우 대한기자신문1.png

이창호 백세보감 저자는 무는 너무 흔해서 지나치기 쉽지만 실제로는 채소 중에서도 가장 약성이 뛰어난 식재료 중 하나라며 특히 겨울철에는 무의 약효가 극대화되므로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하는 것이 자신의 건강에 이롭다고 귀뜸했다.

 

한편 무는 식물 십자화과의 한해살이풀 또는 두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60~100cm이며, 잎은 깃 모양으로 뿌리에서 뭉쳐나고 뿌리는 둥글고 길다. 뿌리는 잎과 함께 식용한다. 중앙아시아가 원산지로 아시아, 유럽 등지의 온대에서 많은 품종이 재배된다.

 

  

자발적원고료로 응원해 주세요!

*예금주 대한기자신문

 *계좌 우체국 110-0053-16317

 

#중의학#겨울산삼#호흡기#해독#중의약재

 
태그

BEST 뉴스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대한기자신문=건강식품리포트] “겨울 산삼” 무(무우), 중의학에서 본 효능 재조명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