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6-12(목)
  • 전체메뉴보기
 
  • 이재명(더불어민주당), 김문수(국민의힘), 이준석(개혁신당), 권영국(민주노동당) 4명의 대선 후보는 TV토론에서 기후환경·에너지 정책의 중요성에 대해 각자의 주장

[대한기자신문 이준 기자] 지난 523일 저녁, 21대 대통령 선거의 두 번째 TV토론이 사회 분야를 주제로 열렸다.

 

대한민국 대선 TV토론 사상 처음으로 기후위기가 공식 주제로 채택되어, 각 후보의 기후환경 및 에너지 정책에 대한 해법이 집중적으로 검증됐다.

 

이번 TV 토론의 핵심 쟁점은 재생에너지 확대의 실효성 및 경제성(간헐성, 저장기술, 계통 안정성), 세계적 트랜드인 탄소중립 목표의 현실성과 산업·에너지 정책 간 충돌, 기후위기 대응이 불평등 해소, 지역균형발전 등 사회적 의제와 어떻게 연결되는가 등이다.

이재명 페북.jpg

사진: 이재명(더불어민주당), 김문수(국민의힘),  권영국(민주노동당),이준석(개혁신당),4명의 대선 후보는 TV토론/이재명FB(좌로부터)

 

이날 이재명(더불어민주당), 김문수(국민의힘), 이준석(개혁신당), 권영국(민주노동당) 4명의 대선 후보는 TV토론에서 기후환경·에너지 정책의 중요성에 대해 각자의 주장을 펼쳤다.

 

이재명(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재생에너지 대대적 확충을 핵심 공약으로 제시했다.

 

TV토론에서 이재명 후보는 재생에너지를 국내에서 대대적으로 확충해야 한다.”소멸 위기 지역은 재생에너지 생산·판매를 통해 새로운 기회를 얻을 수 있다는 입장을 강조하며, 기후위기 대응과 에너지 전환을 지역경제 활성화 및 농촌 소멸 위기 극복과 연계하는 전략을 내세웠다.

 

김문수(국민의힘) 후보는 에너지 믹스의 현실성과 산업경쟁력 강조했다.

 

김 후보는 기후위기 대응과 첨단산업 육성을 위해선 많은 에너지가 필요한데, 재생에너지 확대와 산업 발전 전략이 충돌하는 부분이 있다, 원자력·석탄·재생에너지의 비중 조정 필요성을 언급하고, 탄소중립 목표(2030년까지 2010년 대비 탄소제로) 달성의 현실적 한계와 에너지 안보를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부각했다.

 

이준석(개혁신당) 후보는 재생에너지의 간헐성 문제와 에너지저장장치(ESS) 한계를 지적했다.

 

이 후보는 재생에너지는 간헐성이 본질이기 때문에, ESS로도 2~3일 이상 공급이 어렵다. 태풍 등 이상기후로 풍력발전이 멈추면 계통이 흔들릴 수 있다, 재생에너지 확대의 기술적·경제적 리스크를 강조하며, 원전 등 기저전력 보완의 필요성과,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의 실효성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드러냈다.

 

권영국 (민주노동당) 후보는 성장 중심 정책의 한계와 불평등 해소를 기후정책과 연결시켰다.

 

권 후보는 성장에 가려진 불평등을 직시해야 한다. 부자 감세가 아니라 부자 증세, 대기업과 고소득자에게 공정한 책임을 묻고 그 재원을 국민에게 되돌려줘야 한다고 발언하며, 기후위기 대응 역시 사회적 약자와 지역 불평등 해소와 연계된 정의로운 전환(Just Transition)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번 심층 토론에서 이재명 후보는 재생에너지 확대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결합한 전환의 기회담론을, 김문수·이준석 후보는 에너지믹스의 현실성과 산업경쟁력, 기술적 한계를 들 어 신중론또는 비판론을 펼쳤다.

 

권영국 후보는 기후정책을 사회적 불평등 해소와 연결, ‘정의로운 전환의 필요성을 부각하며 차별화했다.

끝으로 이번 토론은 기후위기를 대한민국 정치의 핵심 의제로 끌어올린 전환점이 되었으나, 각 후보의 정책이 구체적 수단과 실현 가능성, 사회적 비용분담 방안에서 충분히 검증되었는지는 미흡했다는 평가다.

 

 

●자발적,원고료로 응원해 주세요 

▪︎계좌(우체국): 110-0053-16317

▪︎예금주: 대한기자신문 

첨부파일 다운로드
제21대_대통령선거_사회분야_2차_TV토론_이미지(유튜브_캡쳐).jpg (93.0K)
다운로드

BEST 뉴스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대한기자신문] 제 21대 대통령 선거, 두 번째 TV 토론...기후 환경 및 에너지 정책 주장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