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다의 인삼, 전복의 가치
사진: 전복/대한기자신문
[대한기자신문 이강문 건강리포트] 전복은 동양에서 오랜 세월 동안 귀한 해산물로 여겨져 왔습니다. 특히 중의학에서는 ‘바다의 인삼’으로 불리며, 단순한 식재료를 넘어 건강을 회복하는 약재로 활용돼왔다. 『본초강목』을 비롯한 고의서에서도 전복은 간(肝)과 신장(腎)을 보호하고 기혈(氣血)을 보충하는 식품으로 기록되어 있다.
핵심 영양소와 중의학적 특징은 풍부한 영양 성분이다. 전복은 고단백 저지방 식품으로, 타우린, 아르기닌, 글리신 등 유효 아미노산이 풍부합니다. 칼슘, 철, 아연, 셀레늄과 같은 미네랄, 비타민 B군과 E도 고루 들어 있어 면역력 증진과 항산화 효과가 있다.
또 중의학에서는 전복을 "성질은 평(平), 맛은 짜며 간과 신장 경락에 작용한다"고 본다. 주로 ‘음허(陰虛)’ 체질에 맞으며, 체액을 보충하고 내열(內熱)을 내려주는 작용이 크다.
전복이 주는 5대 건강 효과
◉ 신장 강화와 생식 건강
신장은 중의학에서 생명력의 원천으로 간주됩니다. 전복은 신장의 음기(陰氣)를 보충해 허리통증, 무릎 약화, 이명, 조기 백발, 성 기능 저하 등을 예방·개선하는 데 도움을 준다.
◉ 간 건강 회복
전복은 간혈을 보충하고 간음(肝陰)을 자양하여 스트레스성 두통, 눈의 피로, 감정 기복 완화에 효과적입니다. 간의 기운이 회복되면 수면 질도 함께 개선된다.
◉ 면역력 향상
중의학에서 ‘정기(正氣)를 강화하면 외부 사기(邪氣)를 이긴다’는 원리처럼, 전복은 감염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고 회복 속도를 빠르게 합니다. 암세포 억제에 도움이 되는 펩타이드 성분도 주목받고 있다.
◉ 피부 미용과 노화 방지
전복은 피부에 윤기를 더하고 재생을 촉진하는 데 탁월합니다. 폐 기능과 연결된 피부를 윤택하게 해 건조증, 주름, 트러블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 소화 기능 개선
‘비위(脾胃)를 튼튼하게 한다’는 전복은 위산 분비를 도와 소화를 촉진합니다. 위염, 식욕 저하, 변비와 설사 양쪽 증상을 모두 조절하는 기능이 있다.
특수한 건강 상황에서의 활용
◉ 갱년기 증상 완화
전복은 중년 여성의 안면홍조, 발한, 불면증 같은 갱년기 증상을 개선하는 데 사용됩니다. 신장의 음기를 보충하면서 체내 열을 조절한다.
◉ 당뇨병 보조식품
‘소갈(消渴)’이라 불린 당뇨병 증상에 전복은 혈당 안정화, 인슐린 감수성 개선, 췌장 보호 효과가 있다고 중의학은 설명한다.
◉ 심혈관 건강에도 도움
타우린과 오메가-3는 혈압 안정과 혈관 탄력 유지에 기여합니다. 이는 고혈압, 동맥경화 같은 질환 예방과도 연결된다.
전복, 이렇게 먹으면 좋다. 죽으로 섭취는 위가 약한 사람에게 적합하고, 탕으로 끓이기는 보양 효과가 뛰어나며 전복의 진액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
생식(회)은 영양소 손실이 적지만 체질에 따라 주의하고, 추출물은 농축된 형태로 효능이 빠르게 나타난다. 하루 섭취 권장량은 1200g이며, 과도한 섭취는 소화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알레르기 유무와 신장 상태를 고려해야 하며, 반드시 신선한 상태에서 섭취해야 한다.
◉ 과학적 검증과 중의학의 만남
최근 연구에 따르면, 전복에서 추출한 펩타이드와 다당류가 항염·항산화·면역 조절에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또한 전복 껍질(석결명, 石決明)은 고혈압과 눈 건강에 활용된다. 중의학의 전통지식이 현대 과학과 만나며 그 효능이 재조명되고 있는 셈이다.
◉ 전복, 현대인의 건강 동반자
전복은 단순한 보양식 그 이상입니다. 중의학적 관점에서는 전신의 균형을 회복하고 장기 기능을 조화롭게 만드는 데 쓰이며, 현대의학적으로도 항산화, 항염, 면역 조절 등 다양한 효과가 입증되고 있다.
스트레스, 피로, 수면 문제, 소화 장애 등 현대인의 만성적인 건강 고민에 전복은 자연이 주는 해답이 될 수 있다. 체질과 건강 상태에 맞춰 균형 있게 섭취한다면, 전복은 일상 속 가장 든든한 건강 파트너가 될 것이다.
※ 본 칼럼은 중의학적 이론과 현대 영양학 자료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으며, 치료를 위한 의료적 조언은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 도움: 백세보감,이창호 지음,(북그루)
▼자발적,원고료로 응원해 주세요!
*예금주:대한기자신문
*계좌:우체국110-0053-16317